검색결과 리스트
글
디스트릭트9 / SF영화의 새로운 진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 상공에는 언제부터인가 거대한 규모의 UFO가 떠 있다. 우주선을 움직이는 수송선이 떨어져 나간 후 옴짝달싹 못하는 신세가 된 것. 영문을 모르는 지구인들은 헬기를 타고 UFO에 접근해 내부로 침투한다.
우주선 내부의 모습은 상상과 달리 참혹했다. 무려 백만이 넘는 외계생명체가 굶주림에 시달리고 있었던 것. 남아공 정부는 외계인들을 요하네스버그의 한 곳(디스트릭트9)에 수용하기로 결정한다.
'디스트릭트9'은 각종 범죄의 온상이 되어 가고 외계인들은 남아공 정부의 골치거리로 전락한다. 나이지리아 갱단은 외계인들에게 고기를 팔면서 그들의 무기를 입수하고 외계인을 대상으로 한 성매매도 발생한다.
남아공인들은 쓰레기더미를 뒤지며 먹을거리를 찾는 외계인들을 '프런'이라 부르며 경멸하고 요하네스버그의 시민들은 그들을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주 시키라고 시위를 벌인다.
결국 남아공 정부는 외계인들을 다른 곳으로 이주시키기로 결정하고 외계인 관리국인 'MNU'의 비커스(샬토 코플리)에게 이주 작업의 총책임을 맡긴다.
비커스는 총을 앞세워 강압적으로 외계인들로부터 이주 동의를 얻어 낸다. 이 과정에서 외계인 크리스토퍼의 가택을 수색하던 그는 실수로 정체불명의 액체에 노출된다.
다큐 형태로 진행되던 영화는 이 때부터 본격적인 이야기로 돌입한다. 이상한 액체에 노출된 비커스는 서서히 외계생명체로 변신하면서 MNU와 나이지리아 갱단으로부터 쫓기는 신세가 된다.
나이지리아 갱단이나 MNU가 원하는 것은 외계인들이 소지한 무기. 그러나 외계인의 무기는 외계인에 의해서만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무기 작동을 위해 MNU는 몰래 외계인들을 대상으로 생체실험을 저지르고 나이지리아 갱단은 외계인을 살상해서 그들의 살코기를 먹기도 한다.
그러나 아무런 소득을 거두지 못하자 비커스를 잡아 실험을 하려는 것이다. MNU는 비커스를 붙잡기 위해 전국에 수배령을 내린다. 언론에서 비커스가 외계인과 섹스를 가진 후 외계생명체로 변신했다고 떠들자 그의 아내 조차 비커스를 믿지 못한다.
할 수 없이 크리스토퍼를 다시 찾아 간 비커스는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고 그와 함께 탈출하기로 결심하는데..
'디스트릭트9'(District 9, 감독 닐 블롬캠프, 2009)은 사회성이 짙은 SF 영화다. 지금까지 외계생명체를 소재로 한 SF물은 단순한 오락거리에 그쳤다. 그러나 '디스트릭트9'은 SF물도 시사성 있는 작품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영화의 배경이 뉴욕이 아니라 요하네스버그인 것은 주목할 만한다. 남아공은 세계에서 인종 갈등이 가장 심한 나라이기도 하다. 영화 속 외계인 수용구역인 '디스트릭트9'은 얼마 전까지 흑인 거주지역이었다고 한다.
그럼 이 영화가 그저 남아공에서 자행된 흑인에 대한 부당한 차별 대우를 풍자하는데 그치고 있을까?
'디스트릭트9'에 수용되었다가 강제 이주 당하는 외계인은 사실 우리 사회의 불법체류자 혹은 강제로 삶의 터전을 잃어버린 철거민들에 다름 아니다.
현 정부 출범 이후 불법체류 노동자에 대한 단속이 한층 강화되었다. 또 용산참사 같은 비극도 발생했다. 실정법이야 어떻든 불법체류자도 엄연한 우리의 산업인력임을 인정하고 철거민들이 우리의 이웃임을 깨닫는다면 비인도적 처우와 참사는 되풀이되지 않을 것이다.
'디스트릭트9' 속의 외계인은 에일리언을 생각나게 한다. 후반부에 등장하는 로붓은 트랜스포머와 흡사하다. 하지만 이 영화는 지금까지의 SF물과는 확연히 다른 색채를 가지고 있다. SF 영화의 새로운 진화가 이렇게 시작되었다.
2009. 10.18
'동시상영관 > SF극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쥬라기 월드 / 인간의 욕심도 커지고 테마파크도 확장되었다 (0) | 2015.07.20 |
---|---|
터미네이터 / 터미네이터 연대기 (0) | 2015.07.06 |
터미네이터 제니시스 / 아놀드, 터미네이터를 구원하다? (0) | 2015.07.05 |
그래비티 / 우주인의 귀환 = 생명 탄생의 과정 (0) | 2013.10.18 |
터미네이터 없는 터미네이터 : 미래 전쟁의 시작(Terminator Salvation) (0) | 2009.05.25 |
RECENT COMMENT